서울가정의학과 방문 후기 > Best Q&A

본문 바로가기
Best Q&A

통합 의학에 의한 만성 전립선염,
만성골반통증후군의 표적 치료와 관리 및 예방

서울가정의학과 방문 후기

페이지 정보

조회 19회 작성일 25-03-10 22:11

본문

안녕하세요



먼저 열정적으로 치료해주시는 박상태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저는 30대 중반 남자로 전립선염으로 5개월 동안 회음부의 통증, 소변 시 통증 및 잔뇨감,불편감,사정 시 불편감으로

고통받았었습니다. 전립선염 이전보다 관계시 강직도나 발기시간도 현저히 줄었습니다.



몇몇 비뇨기과에서 전립선염 치료를 받았으며 그 중 값 비싼 체외충격 치료까지 10회이상 받았지만 큰 효과가 없었습니다.

약은 항생제,소염제,소화제,근육이완제 정도로만 처방받았으며, 2달이상 복용하였지만 증상이 호전되진 않았습니다.



5개월동안 완치된다는 생각을 가졌지만, 치료가 안되어 평생 안고가야할 질병이라고 생각하니 너무 스트레스를 받고있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에 전립선염 완치를 검색하니 기본적인 자료만 있고 실질적인 치료 후기가 없어 좀 자세히 찾다보니 서울가정의학과 라는곳에서 치료를 아주 잘해준다는 이야기를 보았습니다.



그래서 서울가정의학과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았습니다.



진료를 받으며, 선생님께서 가진 지식이 굉장히 많다고 느껴졌고, 직장 초음파 검사 후 해당 사진을 보며 저의 전립선염 통증과 증상의 원인을 설명해 주셨습니다.



지금까지 다녔던 비뇨기과에서 들은적이 없었던 설명을 들을수 있었습니다.

초음파 검사에서 나온 사진으로 정관의 막힘,동맥경화,석회화 등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으며

이미 치료를 받아서 회복된사람이 정말 많다고 이야기 해 주시며 세균이나 성병등은 반드시 치료가 되고 이후 막히고 앞으로 막힐 상표세와 정액의 순환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치료는

-고주파 치료

-체외충격 치료

-초음파 치료

-자기장 치료

-전립선 마사지 및 전립선의 표적 치료 등



상기 치료외 프로세로 프로 세라 써모 에이치시 등 등의 치료가 있던중 전립선에 위의 일부 치료를 받고 처음으로 전립선의 표적치료를 받고 놀랐지만, 해당 치료를 통해서 나온 전립선액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전립선염과 만성 골반통 증후군의 원인과 치료를 자세히 들었습니다. (외적인 요인으로 포도상 구균을 치료하여야하고 내적인 요인으로 사정관과 정관, 그리고 전립선관의 염증과 석회석과 섬유화와 결절 및 결석 그리고 세포의 노화로 떨어 져 나와 각 관을 막고 있는 상피세포를 제거하여야 치료가 되고 이후 죽은 상피 세포가 또 막히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하셨습니다.)



첫 진료를 받으며 거의 3시간 넘게 자세히 설명해 주시고 이해 시키려 조목 조목 설명해 주셨습니다.

어느병원에서도 있을 수 없는 아주 꼼꼼한 진료 였습니다.



첫 진료시 전립선 액의 PCR 검사,전립선의 고주파치료, 충격파 치료와 초음파 및 자기장 치료후 전립선의 표적 치료를 한다음 전립선 액의 배양 검사와 고환동맥의 경화의 원인등을 찾기 위한 혈액 종합 검사를 하여 검사비용이 들긴하는데, 지금까지 다른 병원에서 치료비용으로 쓴것을 비교하면 저는 큰 부담은 아니었습니다. (검사전 가격을 미리 듣고 본인이 판단하여 검사하므로 개인차 있음, 일반적으로 이것 저것 검사를 할 경우 검사실에 의뢰시 검사 비용이 추가 되었으나 검사후 배양상 전립선염의 원인 균중 하나인 포도상 구균이 나왔습니다)



치료후 증상의 호전을 위해 치료에 임하려고 하며 치료후 지속적인 전립선 관리와 순환을 도와 건강한 삶을 위하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전립선염에 대한 궁금증과 전립선 질환으로 고통받고 계신 환우분 계시면 선생님께 진료 받아보아 그 원인을 찾고 전립선 칠환의 고통에서 벗어나 건강한 삶을 유지 하실길 희망합니다.



치료중 경과를 추가적으로 글 올릴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전립선염 환우분들 힘내십시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서울가정의학과의원

대표 : 박상태 / 사업자등록번호 : 503-96-06369
주소 : 대구 서구 문화로 254(평리동)

Copyright © 서울가정의학과의원. All rights reserved.